반응형 복지정책4 복지정책 알림 사이트 모음 대한민국 복지정책 알림 사이트 모음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여러분께 대한민국의 다양한 복지정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5곳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각종 복지 혜택과 정책을 잘 활용하셔서 더 나은 삶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1. 복지로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복지로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대표적인 복지 정보 포털 사이트입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복지 서비스와 정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본인에게 맞는 복지 혜택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복지로의 ‘복지 서비스 안내’ 메뉴를 통해 전국의 복지시설 .. 2024. 9. 26. 2023년도 교육급여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 알아보기 대한민국에 태어난 모든 국민들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주기위한 제도인 교육급여 선정 기준 및 최저 보장수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2023년 교육급여의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 행정규칙을 찾아왔습니다. 이웃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3년도 교육급여 선정기준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금액(원/월) 1,038,946 1,728,077 2,217,408 2,700,482 3,165,344 3,613,991 2023년도 교육급여 선정기준액은 위의 표와 같다. 중위소득 50%를 교육급여의 기준으로 측정하게된다. 단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2조의2에 따라 부양의무자 기준은 적용되지 않는다. 아래표는 교육급여 선정시 최저 보장수준을 정리한 표이다. .. 2022. 12. 30. 2023년도 중위소득 기준 산정액 2023년도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기준 중위소득을 (4인가구 기준) 5.47%로 인상하기로 결정되었다. 매년 기초생활보장 및 복지 급여 건강보험료 등 가구별 소득을 순위를 매기게된다. 우리나라 정부에서 이용하는 다양한 자료의 기초이자 기준이기에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도록 되어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기초생활보장 주요 정책을 심의 의결하는 정부 위원회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전문가 및 공익위원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윤석열 정부의 '저소득층에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한다.'라는 정책을 담아 나라 내외부의 어려운 경제적 상황에서도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2015년도 이후 최대의 증가율로 결정된 점이 흥미롭다. ■ 기준 중위소득 계산하는 방법 중위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은 통계청에서 공표된.. 2022. 12. 29. 청년내일저축계좌 설립하기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제도가 여러가지가 있다. 사회초년생으로 학생이였던 신분에서 성인이라는 신분전환이 되어 여기저기 부딪히고, 배워가면서 열심히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보탬이 되길바란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청년들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자산형성 지원 및 자립을 돕는데 그 목적과 지원 취지를 갖고있다. □ 지원대상 1.연령·소득기준·가구소득·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충족한 청년을 지원 2. 가입연령 : 신청 당시 만 19세~만 34세 청년 ※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이하자는 만 15세~만 39세까지 허용 3. 근로·사업소득 : 기준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일 경우 근로 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 월 200만원 이하 ※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이하자는.. 2022. 12.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