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4

제 1, 2, 3 금융권은 무엇이고, 뭐가 다를까? 최근에 휴가를 나온 주변 지인이 물어왔다. 지금 금리가 높은데 어떤 상품에 가입하는 게 좋으냐?라는 질문을 해왔다. 적금은 이미 하나 들어놨으니, 예금도 하나 들어놓고 싶다더니, 우리종합금융에 있는 적금을 가입했다더라. 뭔가 이상해서 물어봤다. 혹시 최근 CMA 관련 포스팅을 하면서 보았던 상품인가 싶었더니 맞았다. CMA 통장을 적금과 혼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나도 궁금증이 생겼다. 은행과 종합금융회사, 대부업, 주식회사 등등 다양한 돈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회사가 있다는 정보만 어렴풋이 있는 것이지 제1, 2, 3 금융권은 무엇이 다르고,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고있는게 아니었다. 그래서 찾아보기로 했다. 오늘의 포스팅은 제1, 2, 3 금융권은 무엇이 있고, 어떤 점이 다.. 2022. 12. 24.
매일 이자챙겨주는, CMA는 무엇일까? 내가 가진 자산 중에 착한 친구가 있다. 제일 작고 귀여운 작은 친구이지만, 차곡차곡 매일 같이 이자를 챙겨준다. 바로 CMA 통장이다. 원래는 국민 증권에서 운용하던 CMA에 돈을 모아두다 최근에는 미래에셋증권-네이버 통장으로 새로 개설하고 돈을 옮겼다. 이 착한 친구를 조금 더 잘 사용해 보고 싶어졌다. 현재 시판 중인 CMA 통장을 검색해보았다. 최근 금리 인상과 더불어 CMA도 많이 올라간 모습이지만 적금이 10%가 넘는 상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시장이라, 참 적게 보일 수도 있겠다. 그런데 찾아보니 의문이 생겼다. 종금형/RP유형/발행어음형 등 상품 유형을 달리했다. CMA [ Cash Management Account ] CMA는 종합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예탁 받은 금전(현금)을 어음 또는 .. 2022. 12. 19.
포드(FORD) 2022년 4분기 배당금 수령 해외주식을 시작한지 이제 한 반년정도 진행하였다. 배당금 수령을 목적으로 FORD를 하나둘사서 모아두고있었는데, 토스증권계좌를 통해서 미국주식 원천징수 15%를 제외하고, 11.22$를 입금받았다. 귀여운 내 주식 최근 미연준의 계속적인 금리인상에 비해서 달러강세가 이어져서 포드 자체의 주가는 떨어져도 환율로 계산했을때의 매도손익에대한 손해는 발생이 되지않는 것을 보면서 일시적인 판매수익을 얻는 것이 맞을까 싶기도하다가, 매일매일 들여다보고 저점에 팔고 고점에 파는 성실함은 없어서 일단은 두고두고 배당금을 받으면서 주식의 비율을 늘리는데 비중을 두고있다. 저점과 고점을 파악하고 예상하고 들어가는 것보다는 지금은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수익성 모델에 포트폴리오를 만들고나서 시드가 늘어났을때 조금더 .. 2022. 12. 11.
채권은 무엇일까? 채권은 무엇인가? 채권이란 돈을 빌리면서 이자와 원금을 언제까지 갚겠다 약속하며 발행된 종이를 채권이라한다. 돈을 빌리는 사람을 채권을 만드는 발행자&채무자하며,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채권을 받는 채권자라고 한다. 그렇다면 주식시장보다 규모가 큰 채권시장의 규모는 어떠한 방식으로 수익을 발생시키고, 돈을 받기에 주식보다 투자자들에게 안전자산으로 그 이름을 알리고있을까. 영어로는 Bond, Fixed income 이라 불리기도 하는 채권은 돈을 빌리면서 원금에 대한 만기일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때 채권의 원금(액면가)와 만기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이자율에 대하여도 작성토록 되어있다. 예를 들어 기업은 자금을 공급하기위한 주식발행과 채권을 통한 외부자금 조달을 할 수 있는데, 채권의 경우는 주식과 다르게.. 2022. 12. 7.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