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이야기하다

돈에는 종류가 있다.

by 시라비 2022. 11. 13.
반응형

소득

일을 한 결과로 얻는 정신적, 물질적 이익


우리는 직업을 갖는다.

가만히 있으면 아무것도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회는 일을 하는 것을 독려하게끔 한다.

그리고 소득을 얻는다. 근데 부자들은 일도 잘 안하는 것 같은데 가진 것을 통해서 즐기면서 살고 있는 것 같다.

사실 사람은 억만장자들을 부러워하는 이유가 일을 하기싫은 게으른 베짱이같은 마음에서 시작되는게 아닐까?

 

성실히 일하고 받는 소득은 근로소득이라고 한다. 가장 원시적이고, 눈에 잘 보이는 소득이다.

근로소득은 한계가 있다. 우리는 사람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로 잠을 자야하고, 먹어야하고, 쉬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체력이 떨어져 일을 할 수 없다.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돈을 버는 일을 하는게 효율적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근로소득이 많은 직업을 선호한다. 00사, 유0버 등 많은 돈을 다른 사람들과 같은 시간에 비해서 더

벌어들이면 예쁘고 맛있고, 좋은 것을 가질 수 있고 대부분 직업 활동을 통한 소득을 얻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은 계속해서 일을 할 수 없다.

그렇다면 다른 방법으로 소득을 만들어야하는 것은 당연히 맞이하게된다.

방법을 구상하다보면 우리는 경험으로도 알고있다.

음식을 만든 것을 돈을 받고 파는 방법 혹은

일하는 것 외에 제작을 통한 생산품 판매로 얻을 수 있는 이익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사업 혹은 투자를 통해서 소득을 늘리려한다.

이러한 벙법을 확장시키면 직접가게를 차리거나, 회사를 운영하여 얻는 소득은 사업소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도 결국 직업과 연관된다. 손재주도 필요하고, 만들어내는 노력 관리하는 시간도

투자를 해야한다. 한정된 시간 안에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함께 만들어내는 것이 보통의 일이 아닌 것이다.

시간적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성실히 일하기만해도 쌓이는 통장에 쌓인 돈을

우리는 어떻게써야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

우리는 그렇기에 건물을 구매하고, 땅을 구매하고 타인에게 빌려주어 임대소득을 만들어내거나,

내 필요 외의 돈은 타인에게 빌려줌을 통해서 원금과 이자를 받아 이자소득을 받고는 한다.

하지만 타인에게 빌려주는 돈은 그 돈을 갚는 시기나, 이자율에 대한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꾸 부동산을 투자하는 듯하다. 하지만 잘 갚고 잘 빌려가는 사람이나 기업이라면? 이야기가 다를것이다

 

결국 우리가 받는 돈에도 종류가 다양하고,

다양한만큼 잘 활용하면 일하는 근로소득 외에도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돈이 흐르는 경제를 알면 그래서 재밌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